K-엔비디아? 유발 하라리와 이재명이 던진 AI 시대 국가의 역할
한쪽은 세계적 석학, 다른 한쪽은 대권 잠룡. 이재명과 유발 하라리가 국회에서 AI를 주제로 마주 앉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근데 더 흥미로운 건 이들이 나눈 대화의 핵심이 ‘국가의 AI 투자’와 ‘K-엔비디아’라는 거예요.
AI 시대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잖아요. 그런데 이 거대한 기술의 흐름을 누가 주도할 것인가, 그 수익은 어떻게 나눌 것인가에 대한 질문은 아직 시작도 안 된 느낌이에요. 그런 의미에서 이번 대담은 좀 많이 중요한 시사점을 줬습니다. 특히 ‘공산주의자’ 소리까지 들은 이재명의 제안,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재명과 유발 하라리, 다시 만나다
2025년 3월, 국회 사랑재라는 이름도 낯선 장소에서 흥미로운 장면이 펼쳐졌어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사피엔스』로 유명한 유발 하라리 교수가 AI를 주제로 무려 100분간 대화를 나눈 거예요. 이게 단순한 팬미팅이 아니고요, 무려 4년 만의 재회였다는 점에서 더 의미 있었죠.
둘은 2021년 대선 직전에도 화상 토론을 했던 사이인데, 이번엔 직접 마주 앉아서 현실적인 얘기를 깊이 있게 나눴다는 점에서 팬들 사이에서도 꽤 화제가 됐습니다.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두 사람인데도, AI에 대한 문제의식만큼은 놀랍도록 일치했거든요.
K-엔비디아? 국가가 AI에 투자한다는 발상
이재명 대표가 꺼낸 ‘K-엔비디아’ 이야기는 단순한 상상이 아니었어요. 국부펀드로 AI 기업에 투자해서 국가가 지분을 확보하고, 그 이익을 국민과 나누자는 제안이었죠. 물론 이 아이디어, 정치권 안팎에서는 "공산주의냐?"는 말까지 나왔습니다. 근데 하라리 교수는 "정부 개입이 꼭 필요하다"며 힘을 실어줬어요.
발언자 | 핵심 발언 | 의미 |
---|---|---|
이재명 | 국가가 AI 기업 지분 확보해야 | 기술 독점 방지, 공공 이익 배분 |
유발 하라리 | 정부 개입은 필수다 | AI 시대 국가 역할 강조 |
공공이익과 기술 독점 사이의 줄다리기
AI 기술은 분명 인류의 미래를 바꾸는 혁신이에요. 하지만 그 모든 이익이 특정 대기업으로만 흘러간다면? 이재명 대표가 지적한 것도 바로 이 점이었죠. 공공의 자금이 투입된 만큼, 국민도 이익을 나눠야 한다는 목소리는 꽤 설득력 있어요.
- 기술의 독점 → 사회 양극화 가속
- 국부펀드 활용 → 국민 참여형 경제 구조 가능
- 재벌 중심 구조 → AI 시대에 맞게 재정비 필요
유발 하라리의 경고: 신뢰 없는 AI 사회
하라리 교수는 AI 시대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신뢰’를 꼽았어요. 신뢰가 없다면, 아무리 똑똑한 기술이 나와도 사회는 분열될 수밖에 없다는 거죠. 그는 요즘 세계가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고도 말했어요. 이민자 벽을 쌓고, 나라 간 분쟁이 커지고… 그런 불신 속에서 AI는 더 위험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거예요.
그 말 들으면서 저도 ‘우리가 너무 기술에만 집중하고 있진 않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기술을 통제할 수 있는 건 결국 사람이고, 사람 사이의 신뢰인데 말이죠.
AI가 바꾸는 일자리, 정부의 역할은?
하라리는 노동 시장의 변화도 강조했어요. AI가 사람을 대체하면서 수많은 직업이 사라질 거고, 그건 단기간의 일이 아니라 점점 가속화될 거라는 경고였죠. 그러면서 정부가 적극 개입해서 사람들을 재훈련시키고, 심리적·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했어요.
변화 요소 | 정부 역할 |
---|---|
일자리 불안정 | 재훈련 프로그램 확대 |
정신적 충격 | 심리상담·정신건강 투자 |
직업 다양화 | 미래 산업 교육 강화 |
'위조 인간'이 진짜보다 무서운 이유
하라리가 특히 경고했던 것 중 하나는 ‘위조 인간’이에요. 가짜 뉴스나 딥페이크가 아니라, AI로 만들어진 진짜 같은 사람들 말이에요. 이재명 대표가 “윤석열이 계엄령 선포한 줄 알았는데 가짜더라”는 농담을 던졌을 정도니까요. 이건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이슈입니다.
- 딥페이크 기술 악용 → 정치 신뢰도 저하
- AI 인간 모사 → 선거 조작 가능성 제기
- 규제 미비 → 국제적 공조 필요
국가가 AI 기업에 직접 투자해 지분을 확보하고, 그 이익을 국민과 나누는 구상을 말해요. 이재명 대표가 제안했죠.
민간 독점이 아닌 공공이 소유한 AI 자산을 만들자는 아이디어죠.
AI가 발전할수록 시장만으로는 감당이 안 되고,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래요.
기업만의 힘으로는 불공정과 혼란을 막을 수 없으니까요.
딥페이크로 사람을 조작하거나 가짜 정치를 만들어낼 수 있으니까요.
진짜인지 가짜인지 구별 못 하면, 사회 전체가 혼란스러워지거든요.
재훈련, 재정 지원, 정신 건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하라리는 말했어요.
단순히 일자리를 주는 것보다, 삶을 재설계할 수 있게 돕는 게 더 중요하죠.
신뢰의 붕괴예요. 사람과 사람, 국가와 국가 사이에 신뢰가 무너지면 기술도 무기화되죠.
AI는 도구일 뿐인데, 신뢰가 없다면 어떤 기술도 재앙이 될 수 있죠.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방향으로 사용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모두가 AI 전문가일 필요는 없지만, 최소한 이용자에 대한 책임감은 가져야겠죠.
이번 이재명 대표와 유발 하라리 교수의 대담은 그 자체로도 역사적인 장면이었지만, 더 중요한 건 거기서 나온 메시지였어요. 기술은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지만, 사회는 그걸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듯한 느낌, 저만 받은 건 아니겠죠? 여러분도 AI 시대에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함께 고민해 보면 좋겠어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도 꼭 들려주세요! 특히 ‘K-엔비디아’ 같은 모델에 대한 의견, AI 시대의 정부 역할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너무 궁금하네요 😊
퀀텀에어로의 AI 파일럿, KAI를 날다: 하이브마인드의 비상
퀀텀에어로의 AI 파일럿, KAI를 날다: 하이브마인드의 비상
아직도 영화 속 이야기라고 생각하셨나요? 전투기를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조종한다는 것, 이제는 현실입니다. 국내 방산 스타트업 퀀텀에어로가 진짜로 해냈어요. 바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dailythink5133.tistory.com
오픈AI, 음성 인식의 새 시대를 열다
한 번쯤 상상해본 적 있지 않나요? AI가 우리가 말하는 방식, 감정까지 따라 하는 세상. 오픈AI가 그 상상을 진짜로 만들어냈어요. 감정을 담아 말하고, 억양을 조절하며, 심지어 특정한 캐릭터처
dailythink5133.tistory.com
'IT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 노바 액트(Nova Act): AGI 시대를 향한 첫 번째 에이전트 (0) | 2025.04.01 |
---|---|
퓨리오사AI, 과연 혼자 설 수 있을까? 국내 AI 반도체 생태계의 진짜 현실 (0) | 2025.03.25 |
퀀텀에어로의 AI 파일럿, KAI를 날다: 하이브마인드의 비상 (0) | 2025.03.23 |
오픈AI, 음성 인식의 새 시대를 열다 (0) | 2025.03.23 |
크라우드웍스와 딥시크 R1, 한국어 LLM 시장의 다크호스 될까? (0) | 2025.03.21 |
댓글